вьетнамско-корейское

Sep 05, 2007 17:04


Под катом - забавные снимки, которые были сделаны в июне в г.Пуё. Контора занимается организацией браков с вьетнамками,  и плакаты рекламируют вьетнамских невест. И как тонко рекламируют, на правильные психологические клавиши нажимают. Не о чём-нибудь пишут, а о том, что из них получаются хорошие невестки! Слоган там такой 베트남 며너리 참 착해요 ("Вьетнамские невестки - добрые"). Патриархальная провинция, однако...







Вообще, сказал бы мне кто-нибудь лет пятнадцать назад, что Корея выйдет чуть не на первое место в мире по доле межнациональных браков - не поверил бы! И однако...

То есть, кореянки выходили замуж за иностранцев с очень давнего времени. В основном за американских солдат - таковых браков за 60 лет американского присутствия было заключено что-то около 90-100 тыс. Ну это - дело обычное. Из бедной страны девки бегут, и брак - способ надёжный.

Но вот лет десять назад ситуация изменилась. Браки сейчас заключаются в основном между корейскими мужчинами и иностранными женщинами. Таковых браков очень много. В 2006 г. в Корее зарегистрировано  337 тыс. браков, из них 39 тыс - с иностранными гражданками. Иначе говоря, 11,6%

Женская сторона в таких браках представлена барышнями из бедных стран Азии, в основном из Китая и Вьетнама. Вьетнам быстро догоняет Китай, так как выяснилось, что китаянки достаточно независимы и зачастую склонны отделываться от своих мужиков по получении корейского паспорта. У вьетнамок же репутация другая - как было написано в одном рекламном плакате: "Вьетнамские девушки... Они никогда не убегают! (베트남여성, 절대로 도망치지 않습니다)"

Мужская сторона - обычно те, кому нормальную жену найти не просто. В основном - фермеры, рыбаки, часто с детьми от прошлого брака, в возрасте, сильно немодельной внешности. Сейчас примерно четверть крестьянских парней женится на иностранках, причём в деревнях преобладают вьетнамки (в целом же по стране китаянок несколько больше).

Интересно, какие будут результаты?

Кстти, о смешанных браках я уже писал пару лет назад, когда они вдруг стали заметным явлением.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здесь.

부쩍 늘어난 국제결혼… 파경도 급증 /// 
///[세계일보]2007-04-16 05판 03면 1400자

부쩍 늘어난 국제결혼… 파경도 급증

[세계일보]2007-04-16 05판 03면 1400자 종합 뉴스
8쌍 중 1쌍이 외국인과 결혼할 정도로 국제결혼이 늘면서 이들의 이혼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대법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결혼 건수는 3만9071건으로 전체 33만7528건의 11.6%를 차지했다. 100쌍 가운데 1쌍에 그쳤던 1990년에 비해 16년 새 1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지역별로는 전남 23%, 전북 16%, 경북 15% 등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비율이 높았다. 전남은 지난해 결혼한 1만1074쌍 가운데 2512쌍이 국제결혼이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동남아 여성이었다. 농촌총각 4명 중 1명이 동남아 여성을 아내로 맞고 있는 셈이다. 시·도별 결혼 관련 통계로 2003년 이후 국제결혼 비중이 전체 결혼의 20%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국제결혼 상대방의 68.8%가 중국과 베트남 출신이었으며, 대부분이 여성이었다. 베트남과 필리핀 출신을 배우자로 맞는 경우는 최근 들어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

2003년 1500여명에 불과하던 베트남 출신 결혼 이민 여성은 지난해 6배가 넘는 9812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국제결혼한 3만9071쌍 가운데 한국인 남성이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경우가 2만9660쌍(75.9%)으로, 한국인 여성이 외국인 남성과 결혼한 사례보다 여전히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처럼 국제결혼이 늘면서 지난해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가 이혼한 건수도 2005년 4208건에서 지난해 6187건으로 47.0%나 폭증했다.

국제결혼을 했다가 이혼한 건수는 2003년 2784건에서 2004년 3315건으로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외국인과의 혼인(3만9071건)이 2005년(4만3815건)에 비해 4744건이나 줄었는데도 이혼은 오히려 크게 늘어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전체 이혼 건수에서 국제결혼 가정의 이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시·도별로 제주도가 1833건 중 145건으로 7.9%를 기록, 가장 컸다. 뒤를 이어 전남 7.2%, 경북 5.7%, 충북 5.7%, 충남 5.5%, 전북 5.4% 등이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이뤄진 2만7437건의 이혼 가운데 국제결혼 가정의 이혼이 1859건으로, 16개 시도 중에 건수로는 가장 많았으나 전체 이혼 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8%로 제주와 전남보다는 낮았다.

서울을 제외하고 부산 4.8%, 대전 4.3%, 인천 3.9%, 대구 3.2%, 울산 3.1%, 광주 2.8% 등 대도시 지역에서 국제결혼 가정의 이혼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어서 도시보다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의 이혼이 많음을 보여줬다.

이는 유학생활이나 사업 관계 등으로 만나 자연스럽게 결혼하기보다 주로 농촌지역에서 신붓감을 구하지 못하다가 재중동포 또는 동남아 출신 여성을 배우자로 맞아들인 사례가 많은 데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우승 기자

Южная Корея, Вьетнам, общество, иностранцы в Корее

Previous post Next post
Up